목차로 돌아가기

행동에 대한 평가과정을 통해 우리는 행동의 경험을 유의미한 것으로 남길 수가 있다. 대개의 평가는 개인적인 감회나 친구들과의 대화, 활동을 준비하는 데 주 역할을 담당했던 사람('리더들')들과의 대화처럼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행사 이후 피드백을 거쳐 교훈을 남길 수 있는 하나의 평가 틀을 보여주고자 한다. 평가가 되면 좋고 안 되면 할 수 없다는 식의 태도를 보이거나 혹은 평가를 소수의 사람들에게 맡겨버리기보다는 준비된 하나의 틀 속에서 평가 역시 집단활동의 하나로 구상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공식적인 평가과정을 통해서 서로 다른 차원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했던 참여자들이 모두의 노력, 경험, 헌신들을 공론화하고 되새길 수 있기 때문이다. 행동에 참여 했던 모든 사람들 그리고 이 행동을 기획하고 준비했던 사람들 모두는 이 평가과정까지 열심히 참여할 필요가 있다.

평가과정이 활동의 한 부분으로 자연스레 자리를 잡게 됐을 때 구성원들은 행동의 과정이나 내용들에 대해 생산적이고 솔직한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명심할 것은 평가 과정에서 나오는 다양한 의견들에 대해서 꼭 모두가 동의나 합의를 해야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행동에서 좋았던 점들, 아쉬웠던 점들 모두가 논의될 수 있어야하며, 단 가능하다면 행동의 긍정적인 부분부터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은 평가의 틀은 주의깊게 설계되어야 한다.

평가에서 다뤄지는 사안들 중에는 양적인 것에 관한 것이 상당 부분을 차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우리가 얼마나 많은 리플렛을 나눠줬는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는지, 얼마나 많은 보도가 되었는지, 도로를 얼마나 오래 가로막고 있었는지 등등. 만약 이와 같은 정보들이 평가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수치들을 계산하는 나름의 방식을 계발해서 이를 토대로 행동 과정에서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사람을 두는 것이 좋다. 하지만 때로는 이와 같은 숫자 놀이가 평가의 원래 목표와 멀어져버리는 결과를 나을 수도 있다. 특히나 정기적으로 반복되는 행동의 경우에는 더 그렇다. 예를 들어, 앞서의 시위보다 이번 시위에 나온 사람들 숫자가 더 늘어났지만 실제로는 이 시위의 파급력이 줄어든다거나 처음 참여한 사람들은 지루함을 느낀다거나 혹은 시위 자체에 관심을 보이지 않게 되는 상황이 벌어질지도 모르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예로는, 어느 군 부대 입구를 계획보다 더 오랜 시간동안 가로막는 행동을 펼쳤지만 실제로 이 행동을 아는 사람은 여전히 드물며 행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사기도 저하되는 상황도 있을 수 있다. 요컨대, 평가의 기준은 평가의 대상이 되는 한 행사의 애초 의도했던 목표와 조응하여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래에는 평가과정에 사용될 체크리스트가 제시되어 있다. 이 리스트는 다른 영역의 활동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1. 비전과 전략 그리고 구체적인 목표

행동에 대한 전반적인 비전/전략/구체적인 목표가 있었는가? 행동이 문제/갈등 상황과 연관이 되었는가? 참여자들은 누가 이 행동을 기획했는지 인지를 했던가? 참여자들은 전망/전략/구체적인 목표에 대해 알고 있었는가?

2. 원칙과 규율

행동의 규율에 대한 명확한 논의 과정이 있었는가? 규율이 행동 과정에서 잘 지켜졌는가? 계획했던 구체적인 전략과 실제 수행은 규율에 부합했는가? 참여자들이 자기 자신이나 혹은 다른 참여자가 합의를 기초로 구성된 규율을 따르는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느꼈는가?

3. 준비와 실습

준비/실습 과정은 적절했는가? 준비/실습 과정은 충분했는가? 준비/실습 과정은 참여자들이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어떻게 대처할지에 대해 도움을 주었는가? 준비/실습 과정은 참여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켰는가? 준비/실습 과정은 참여자들의 기대를 충족시켰는가? 참여자들은 준비/실습 과정에서 뭔가 배운 것이 있다고 느꼈는가?

4. 전술

계획한 전술은 적절했는가? 행동이 계획한 전술대로 진행이 되었는가? 전술은 참여자들의 필요와 기대를 충족시켰는가? 예상치 못한 상황들에 잘 대처했는가? 전술은 규율/전망/목표와 일치하였는가?

5. 조직

그룹 구성 및 조직과정은 이 행동의 목표/전략/비전/규율에 잘 부합하였는가? 그룹 구성은 민주적으로 진행되었는가?

6. 결과

1) 참여자

행동이 참여자들과 연관이 되었는가? 행동이 더 많은 참여자들을 불러모았는가? 참여자들은 행동이 잘 진행되고 있다고 느꼈는가? 행동이 참여자들의 자신감을 북돋아 주었는가?

2) 행동의 메세지를 전달받은 사람들

행동의 메세지는 명확했는가? 행동의 메세지가 목표에 도달했는가? 행동의 메세지가 더 많은 행동과 소통을 증대/감소시켰는가? 상대집단으로부터의 반응이 있었는가? 이와 같은 상대집단의 반응은 이 행동의 목표와 어떻게 관련을 맺었는가?

3) 제3자 집단

그들은 이 행동의 의미를 이해하였는가? 이 행동이 그들을 우리로부터 멀어지게 많들었는가? 이 행동이 예상치 못한 상황을 불러왔는가? 사람들이 우리의 행동에 따라 함께 움직였는가(중립적 입장, 관심표명, 입장선회)?

이 평가 폼은 1977년 7월 멕시코 쿠에르나바카에서 열렸던 비폭력행동 트레이닝에 관한 국제세미나에서 계발된 것이다.

Other resources for evaluation

Related content